자동차는 수천 개의 부품과 복잡한 시스템이 결합된 기계입니다. 하지만 기본적인 구조만 알아도 차량 상태를 더 잘 이해하고, 정비나 구매 시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자동차의 주요 구조를 크게 세 가지 범주—차체, 엔진룸, 하체—로 나눠 각각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간단하고 명확하게 정리합니다. 운전자라면 누구나 알아두어야 할 핵심 구조 용어를 쉽고 빠르게 익혀보세요.

자동차 차체(외부) 구조 관련 용어
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, 외관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주행 성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 가장 기본적인 용어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.
- 보닛(Bonnet): 엔진룸을 덮는 커버입니다. 후드(Hood)라고도 하며, 대부분 전면에 위치합니다.
- 펜더(Fender): 타이어 주변의 외곽 부품으로, 진흙이나 돌이 튀는 것을 막아줍니다.
- 루프(Roof): 차량의 지붕 부분입니다.
- 트렁크(Trunk): 후면 적재 공간을 의미합니다. SUV나 해치백은 트렁크와 실내 공간이 연결되어 있기도 합니다.
- 필러(Pillar): 앞유리와 뒷유리 사이 기둥 구조로, A필러(앞), B필러(중앙), C필러(뒤)로 구분됩니다. 충돌 시 차체 강성을 확보하는 핵심 부품입니다.
- 그릴(Grille): 라디에이터를 보호하면서 외관 디자인 역할도 수행합니다.
- 사이드미러(Side Mirror): 측면 거울로, 접이식·열선 기능 등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.
- 램프(Lamp): 전조등(헤드램프), 방향지시등(턴시그널), 후미등(테일램프) 등이 포함되며, LED, HID, 할로겐 등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.
차체 구조 용어를 알고 있으면, 외부 손상 부위 설명이나 부품 교체 요청 시 의사소통이 원활해지고, 불필요한 수리를 피할 수 있습니다.
자동차 엔진룸 및 전장 계통 주요 용어
엔진룸은 자동차의 심장부라 불리며, 차량의 성능과 직결되는 핵심 부품들이 집중된 공간입니다.
- 엔진(Engine): 내연기관 차량의 동력원으로, 가솔린, 디젤, 하이브리드 등에 따라 구조가 다릅니다.
- 배터리(Battery): 시동 및 전기장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.
- 에어필터(Air Filter): 엔진으로 들어가는 공기를 정화합니다. 오염 시 연비와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- 퓨즈 박스(Fuse Box): 전기 계통의 이상 시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 장치입니다.
- 브레이크 오일 탱크: 브레이크 작동에 필요한 유압을 유지하는 액체 저장소입니다.
- 라디에이터(Radiator): 냉각수 순환을 통해 엔진의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합니다.
- 구동 벨트 (서펜타인 벨트 Serpentine Belt ): 엔진 회전력을 발전기, 워터펌프, 에어컨 컴프레서 등의 부품에 전달하는 고무 벨트입니다. 과거에는 팬벨트(Fan Belt)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서펜타인 벨트(Serpentine Belt)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입니다.
- ECU(Engine Control Unit): 전자제어 유닛으로, 엔진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제어하는 컴퓨터 장치입니다.
엔진룸 구성과 용어를 이해하면 차량의 성능 문제, 정비 권유 사항, 이상징후 발생 시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
자동차 하체 및 구동 관련 부위 용어
하체는 차량의 주행 성능, 승차감, 제동, 조향과 관련된 부품들이 모여 있는 영역입니다. 사고 시 파손 위험이 크고, 주기적 점검이 중요한 구조입니다.
- 서스펜션(Suspension): 노면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높이는 장치입니다. 쇼크업소버(쇽업소버)와 스프링으로 구성됩니다.
- 브레이크 디스크 & 패드: 차량 제동 시 마찰을 일으켜 감속을 유도하는 장치입니다.
- ABS 센서: 급제동 시 바퀴 잠김을 방지하여 조향이 가능하도록 돕는 제동 보조 장치입니다.
- 드라이브 샤프트(Drive Shaft): 엔진의 회전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회전축입니다.
- 로어암(Lower Arm): 서스펜션의 핵심 연결 부위로, 주행 중 떨림이나 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부품입니다.
- 스테빌라이저(Stabilizer Bar): 코너링 시 차량의 쏠림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.
- 머플러(Muffler): 배기 시스템의 일부로, 소음과 배기가스 흐름을 조절합니다.
하체 구조에 대한 이해는 안전 운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, 정비소에서의 하체 이상 진단이나 교체 권유 시 판단에 도움이 됩니다.
자동차 구조를 구성하는 기본 용어만 제대로 알아도, 차량 관리와 정비, 사고 대응, 구매 시 협상까지 많은 부분에서 유리한 입장이 될 수 있습니다. 복잡한 전문지식이 아닌, 운전자라면 알아야 할 기본 구조별 용어부터 익혀보세요. 오늘부터 내 차의 구조를 직접 살펴보고, 익숙하지 않은 부위는 이 글을 참고해 정확히 이해해보시기 바랍니다. ‘차를 안다’는 건, 용어 하나하나에서 시작됩니다.